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내가 거래하는 새마을금고는 안전한가
    카테고리 없음 2023. 11. 10. 16:33

    내가 거래하는 새마을 금고는 안전금고 or 부실금고

    계속해서 위기설에 몸살 앍는 새마을 금고 걱정인데, 내가 거래하는 새마을 금고는 안전한 지점인지 또는 부실지점인지 확인하는 방법

     

    새마을 금고를 거래하는 사람이 금고의 부실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은 1가지 밖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바로 새마을 금고에서 공시하는 전자공시입니다.

     

    전자공시를 확인하는 방법은

    1. 새마을 금고 홈페이지 홈페이지 접속

    2. 사업안내 -> 전자공시 메뉴에 가면 정기공시와 수시공시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새마을 금고
    새마을 금고

     

    정기공시는 매년 2회(6월과 12월) 공시하는 전자공시로 본인이 거래하는 금고명을 입력하면 공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정기공시에서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고정이하여신 및 부실여신 현황, 사고정리 현황, 경영실태평가, 감사(검사) 내용들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수시공시에는 수시공시 뿐만 아니라 제제공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자신의 거래하는 새마을 금고의 수시공시와 제제공시가 있다면 꼭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참고로 본인의 금고가 검색이 되지 않을 수가 있는데요. 지점일 경우에는 본점으로 검색해야 됩니다.

     

    여기서는 3개의 금고을 통해 정기공시에서 확인해야 할 사항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3개 금고를 정리한 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3개 금고 대조표
    3개 금고 대조표

     

    예로 검색한 금고는 아래의 3개의 새마을 금고입니다. 2023년 6월 정기공시를 참조하였습니다.
    1. 서울축산
    2. 구로3동
    3. 이문.휘경동

     

    ▶ ①종합경영 평가

         서울의 전체 금고 중 종합경영 평가에서

         3등급을 받은 곳은 45곳,

         4등급을 받은 곳은 4곳입니다.

         보통 1·2등급을 우량 금고로 평가합니다.

         서울축산 1등급, 구로3동 2등급, 이문.휘경동 3등급 받았네요.

         추가적으로 2023년 12월 31일 평가기준 경영실태평가 정기공시를 기준으로

         서울축산 2등급, 이태원1동 2등급, 구로3동 2등급, 송탄 2등급, 종로중앙 2등급, 이태원1동 2등급,

          갈현동 2등급, 우리들 2등급,

          동수원 3등급, , 이문.휘경동 3등급, 배봉 3등급, 상도중앙 3등급, 성동우리 3등급입니다.

     

         참고로 2023년 6월 수시공시를 통해 구로3동은 출자금 감소에 대한 경영 개선 권고를 받았네요.

         또한 2023년 12월 수시공시를 통해 서울축산은 임원 및 직원 견책을 받았네요.

         정기공시 내용 중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등 복잡한 숫자들을 싫어하시면

         간단히 종합경영 평가 등급만 확인 하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1등급을 받은 서울축산 지점은 아래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네요.

    1등급
    1등급

     

    ▶ ②자본적정성

         25. 자본적정성 위험가중자산대비자기자본비율
         부실지점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로,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험가중자산대비자기자본비율이 낮을 수록 나쁜 것입니다.  11%이상 우수

     

    ▶ ③자산건전성

         26. 자산건전성 손실위험도가중여신비율

         부실여신 규모와 대손충당금 적립 규모, 기본자본 보유 수준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지표로

         자기자본에서 위험자산 비중을 보여줍니다.

         손실위험도가중여신비율이 높을 수록 나쁜 것입니다. 낮은면 낮을 수록 좋아요.

     

    ▶ ④자산건전성

        26 자기 건전성 순고정이하여신비율 

        부실지점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로, 순고정이하여신(대출)비율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순고정이하여신비율이 높을 수록 나쁜 것입니다. 3%이하 우수

     

    ▶ ⑤자산건전성

         26. 자산건전성 연체대출금비율

        금고가 보유한 전체 대출금 가운데 연체된 대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입니다.

        연체대출금비율이 높을 수록 나쁜 것입니다. 2%이하 적정합니다.

         2023년 12월 경영지표로 확인해 보면 

        경영실태평가 3등급인 동수원새마을금고가 연체대출금비율이 7.24

        경영실태평가 2등급인 종로중앙새마을금고가 연체대출금비율이 2.59

        경영실태평가 2등급인 구로3동새마을금고가 연체대출금비율이 0.39

        경영실태평가 2등급인 송탄새마을금고가 연체대출금비율이 3.57

        경영실태평가 2등급인 이태원1동새마을금고가 연체대출금비율이 6.52

        경영실태평가 2등급인 갈현동새마을금고가 연체대출금비율이 10

        경영실태평가 2등급인 우리들마을금고가 연체대출금비율이 9.18

        경영실태평가 2등급인 더좋은새마을금고가 연체대출금비율이 4.45

        경영실태평가 2등급인 구산동새마을금고가 연체대출금비율이 9.29

        경영실태평가 2등급인 은평새마을금고가 연체대출금비율이 7.34

        경영실태평가 2등급인 갈현동새마을금고가 연체대출금비율이 10.63

        경영실태평가 2등급인 삼성새마을금고가 연체대출금비율이 1.79

        입니다.

     

      ⑥유동성
          27. 유동성 유동성 비율

         부실지점의 유동성 상태를 평가하는 지표로, 유동자산 대비 단기부채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동성 비율이 낮을수록 나쁜 것입니다. 100이상이면 우수함.

     

    ▶ ⑦수익성

         28. 수익성 총자산순이익률 

         부실지점의 수익성를 평가하는 지표로, 총 자산 대비 수익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낮을수록 수익율이 나쁜 것입니다. 1.0%이상이면 우수함.

     

    구로3동
    구로3동

     

    구로3동 지점은 '자산건전성'은 매우 우수하나 수익성이 낮아 종합경영 평가 2등급을 받은 것 같습니다.

    따라서, 너무 종합경영 평가 등급만 보지 마시고, 부실지점인지 확인을 위해 '자본적정성'과  '자산건전성' 도  함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새마을금고 예금자 보호
    새마을금고가 고객의 예금을 지급하지 못하게 될 경우
    고객의 예금보호를 위해 새마을금고중앙회에 예금자보호준비금을 설치하여 운영합니다.


    ▶ 새마을금고 예금자보호 대상 및 한도

    「새마을금고법」에 의해 설립된 전국의 새마을금고로서, 새마을금고법 시행령 제 46조에 의거 2001년 1월1일부터는 일반금융기관과 마찬가지로 예금주 1인당 원금과 소정의 이자를 합하여 5,000만원까지 보장해 드리고 있습니다.

    ※ 보호한도는?

    1인당(개인,법인,임의단체 등) 보호한도는 각 새마을금고가 별도로 적용되며,
    동일한 새마을금고의 본점 및 지점의 예금은 합산됩니다.
    출자금은 새마을금고의 자본금으로 예적금과 달리 예금자보호 대상이 아닙니다.

    ▶ 새마을금고 예금지급 절차
    새마을금고가 경영부실 등으로 해산을 하게 되면 민법의 규정에 따라 2개월 이상 채권 신고 및 접수 후 새마을금고중앙회에서 채권· 채무를 확정하여 예금자보호준비금관리위원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 예금을 지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 예금지급 시기는?
    새마을금고 업무정지일로부터 예금지급시 까지 일정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새마을금고 고객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1인당 2천만원까지 긴급생활자급을 신속하게 선지급 하고
    나머지 예금은 원리금 5,000만원 이내에서 예금자보호관리위원회 의결 후 지급하고 있습니다.

    지불준비금제도란?
    새마을금고에는 지불준비금제도라는 또 하나의 안전장치가 있습니다.
    전국 새마을금고의 여유자금을 중앙회에 상환준비금 등으로 예치, 7조 3,565억이 넘는 지불준비금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고객이 예적금을 원하면 언제든지 예적금을 찾을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Copyright ⓒ KY.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