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 내 급여에서 4대보험료는 얼마 나가는 거야?
    카테고리 없음 2023. 10. 19. 17:48

    4대보험료(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 조회방법.

     

    근로계약서 작성 및 4대보험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근로계약서 작성 및 4대보험

    ☞ 근로계약서 회사에서 새로 직원을 채용 했을 경우, 근로 당사자가 원하지 않는다고 해도 근로계약서 작성은 무조건 이행해야 하는 필수 사항입니다. * 5인 미만 사업장이나 단기/일용 근로자

    moneysave-financial-technology.tistory.com

     

    ▶ 국민연금
    - 납부액 조회 방법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 국민연금 보험료 : 기준소득월액의 9% 납입 (근로자 4.5%, 사업주 4.5%)
    - 기준소득월액
    연금보험료를 산정하고 급여를 계산하기 위하여 가입자의 소득월액(실제소득)을 기초로
    일정 범위(상하한) 내에서 1,000원 단위로 정한 금액.
    가입자 개인이 매월 납부하는 연금보험료는 기준소득월액에 보험료율을 곱하여 계산된다.
    가입자 개인의 가입기간 중 기준소득월액은 가입자 개인의 연금급여 수준을 결정하고

    연금액 최고 한도액, 사망일시금 한도액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 기준소득월액 상한액
    - 매년 상하한액 조정:
    2009. 12. 30. 국민연금법 시행령 개정으로

    2010년 7.1.부터 최근 3년간 A값의 변동률에 연동하여
    매년 상하한액을 조정하고 있다.
    2023년 기준소득월액 상한액 5,900,000원
    2023년 기준소득월액 하한액 370,000원
    따라서,
    국민연금 보험료 최고액 53만 1,000원
    국민연금 보험료 최저액 3만 3,300원

     

    건강보험
    - 납부액 조회 방법 :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 건강보험 보험료 : 보수월액의 7.09% (근로자 3.545%, 사업주 3.545%)

    - 보수월액이란

    직장가입자가 해당 사업장에서 받은 매월의 보수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동일사업장에서 해당 연도에 근무한 기간 중 지급받은 보수총액을
    그 근무한 기간의 월수로 나눈 금액을 의미합니다.

    * 장기요양보험

    - 장기요양보험 보험료 : 건강보험료 기준 12.81% (근로자 3.545%, 사업주 3.545%)
    -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에 포함되어 납부한다.
    - 고령화의 진전과 함께 핵가족화, 가족구성원의 경제활동참여가 증가하면서

    종래 가족의 부담으로 인식되던 장기요양이 이제 더 이상 개인이나 가계의 부담으로 머물지 않고

    이에 대한 사회적ㆍ국가적 책무가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사회 환경의 변화와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이미 선진각국에서는 사회보험방식 및 조세방식으로

    그 재원을 마련하여 장기요양보험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산재보험

    - 납부액 조회 방법 :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 산재보험 보험료 : 전액 회사 부담

     

    고용보험
    - 납부액 조회 방법 : 근로복지공단 고용 산재보험 토탈서비스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total.comwel.or.kr

    - 고용보험 보험료 : 근로자 0.9% , 사업주 0.9%

     

    ☞ 월급이 225만원일 경우의 4대보험 납부액이 얼마인지 계산해 보겠습니다.
    - 월급 2,250,000원
    - 비과세액 200,000원
    * 월급에서 식대 월 20만원을 비과세로 보고 계산하겠습니다.
    - 부양가족수 (본인포함) 1명
    * 근로소득세 계산을 위해 부양가족수는 본인 포함 1명으로 계산하겠습니다.

     

    국민연금 (4.5%) 92,250원
    건강보험 (3.545%) 72,670원
    요양보험 (12.81%) 9,300원
    고용보험 (0.9%) 18,450원
    근로소득세 (간이세액) 21,130원
    지방소득세(10%) 2,110원
    월 예상 실수령액 2,034,090원
    * 산재보험은 전액 회사 부담

    결론적으로 4대보험으로 192,670원을 납부하게 되네요. 대략 급여의 8.5% 입니다.


    728x90
    반응형
Copyright ⓒ KY.KIM